
[사진 위] NASA의 2024년 초소형 위성 기술 현황 보고서에 언급된 텔레픽스
초소형 위성 기술 현황 보고서(State-of-the-Art of Small Spacecraft Technology)는 지난 한 해동안 전 세계에서 이뤄진 유의미한 소형 위성 기술 동향을 수집한 것으로, 나사에서 매년 발간하는 전 세계 우주 기관과 기업들이 참고하는 대표적인 기술 동향 자료이다. 해당 보고서에 텔레픽스의 테트라플렉스(TetraPLEX)기술이 등재되었다. 초소형 위성 항공전자 부문(238쪽)에서 인공위성 및 우주 탐사선에 탑재되는 고성능 온보드 컴퓨팅 시스템 중 하나로 소개됐다.
테트라플렉스는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활용한 위성용 AI 온보드 프로세서다. 엔비디아의 최신 AI 컴퓨팅 플랫폼인 젯슨 오린 엔엑스(Jetson Orin NX)를 적용한 최초의 우주 실증 사례로, 나사 보고서에 언급된 제품 중 유일하다.
기존에는 위성이 수집한 데이터를 모두 지상국으로 전송해야 했다. 하지만 테트라플렉스를 탑재하면 AI 기반 엣지 컴퓨팅을 활용해 위성 내에서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선별해 지상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비용 절감, 신속한 의사결정, 전송 지연 최소화 등 보다 효율적인 위성 정보 데이터 처리 방식이 가능하다.
테트라플렉스는 지난해 8월 우주로 성공적으로 발사돼 궤도 내 성능 테스트까지 완료됐다. 우주 환경에서도 위성 이미지 전처리 알고리즘이 원활히 작동해 위성 이미지 전처리가 단 11초 만에 완료됐다. 이는 6분 이상 소요되던 기존 시스템과 비교해 35배 빠른 속도다. 계산 결과 정확도도 100%로, 지상에서 처리한 것과 동일하다.
조성익 텔레픽스 대표는 “테트라플렉스는 제한된 지상국 인프라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했던 위성 데이터 처리 방식을 바꾸는 혁신적인 기술”이라며 “이번 나사 보고서 등재는 텔레픽스가 개발한 우주용 컴퓨팅 시스템이 세계적으로 인정 받고 실제 위성에서 운용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텔레픽스는 테트라플렉스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위성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향후 AI 기반 위성 데이터 분석 서비스 및 차세대 온보드 컴퓨팅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글로벌 항공우주 기업 및 연구기관과 협력을 추진해 AI 엣지 컴퓨팅 기반의 차세대 우주 미션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미지 제공: 텔레픽스(telepix.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