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는 20일 서울 팁스타운 S1에서 오영주 장관과 AI 스타트업, 제조 AI기업, 전문가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AI 활용·확산을 위한 인력정책 방향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AI 핵심인재 확보가 곧 기술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며 글로벌 기술 기업들의 AI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재직자의 AI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 2월의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범정부 정책을 논의했으며, 중기부는 'AI 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AI 활용·확산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회의는 AI 스타트업 및 제조 AI기업에 우수 인재 양성·공급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산업연구원 민순홍 부연구위원은 'AI 시대의 인재양성 현황과 과제'에 대해 발제하고, AI 도입기업의 애로사항 및 인력현황, 최근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AI 정책을 소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AI 프로젝트 기반 학습 도입 등 스타트업과 대학의 산학협력 강화, 재직자 AI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우수인재 채용 및 근속 유도를 위한 정부지원 방안 등이 논의됐다.
뤼튼테크놀로지스 유영준 이사는 "해외 우수 AI 인재 유치를 위한 비자 정책 및 정착 지원을 강화하고, 혁신적인 프로젝트에 대한 인재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AI 스타트업에 대한 R&D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클레온 서지호 최고운영책임자는 "AI 인재 순환 프로그램 및 공동 R&D 프로젝트 등을 통한 대기업-스타트업 인재 교류 활성화, 스톡옵션 지원 확대를 통한 스타트업의 보상체계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LG AI 연구원 김유철 전략부문장은 "AI 인재양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성장환경의 조성"이라며, "프로젝트 중심의 실무교육을 통해 재직자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오영주 장관은 "AI 국가대표 스타트업 육성 및 AI 기술과 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우수한 AI 인재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라며, "우수한 인재가 스타트업, 제조 AI 기업과 함께 성장하고 유니콘 기업이 탄생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미지 제공: 중소벤처기업부(ms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