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이 2024년 4분기 및 연간 경영실적을 14일 발표했다. 이 회사의 연결기준 4분기 매출은 6,439억원으로 게임, 결제/광고, 기술 등 핵심 사업의 성장세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7.6%, 전 분기 대비 5.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50억원으로 전년 동기, 전 분기 대비 흑자로 전환했다. 2024년 연간 매출은 2조4,561억원으로 전년 대비 8.2%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주로 3분기 티메프 사태로 인한 미회수채권의 대손상각비 반영 등의 영향으로 32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러한 비용을 제외하면 연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94% 증가한…
경기도 성남시(시장 신상진)는 ‘판교 콘텐츠 거리’ 조성 사업에 대한 실시설계 용역 및 사전 행정절차를 완료하고 10월 30일 착공에 들어갔다. ‘판교 콘텐츠 거리’ 조성은 판교테크노밸리를 국내 게임산업 중심의 산업 집적지에서 게임·콘텐츠 문화 중심지로 더 발전시키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판교 콘텐츠 거리는 제1 판교 중신인 분당구 삼평동 678-1~628 일대의 중앙보행통로 750m 구간으로 연면적 2만 891.4㎡에 사업비 44억 7천만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 거리는 놀이‧축제‧소풍 3개 주제별 캔버스로 나누어 리모델링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열린 공간으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는 7월 24일(월) 산업은행 아랍에미리트(UAE) 투자협력센터와 게임, 드라마, 웹툰 등 콘텐츠 산업 업계 대상 아랍에미리트(UAE) 국부펀드 투자유치설명회를 개최했다. 투자유치설명회는 2023년 1월 한·아랍에미리트(UAE) 정상회담에서 발표한 아랍에미리트(UAE) 국부펀드의 300억 불 규모 한국 투자에 대한 후속 조치로서 5월 우선 투자 협력 분야 중 하나로 선정된 K-컬처 분야 투자유치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처럼 중동 시장이 K게임의 신규 시장으로 떠오르면서 국내 게임업체들의 중동시장에 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중동 시장 K게임의 신규 시장으로 급부상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년…
카카오가 CXO조직 내 게임 사업을 총괄하는 최고 게임 책임(CGO)을 신설하고 모바일 게임 사업 강화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카카오는 18일, 자사 게임 사업을 총괄하는 최고 게임 책임자 CGO로 남궁훈 현 엔진 대표이사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남궁훈 대표는 내년 1월부터 카카오 최고 게임 책임자와 엔진 대표이사를 겸직하게 된다. 이번 결정은 카카오의 게임 사업 강화를 위한 새로운 모멘텀을 확보하고자 카카오 임지훈 대표가 직접 영입을 제안해 이루어졌다고 회사는 밝혔다. 임지훈 대표는 “2013년 게임인재단 이사회 멤버로…
I have been following the story of Kakao Corp closely over the last two years and its been an interesting ride so far, due to get much more so with the merger announced this week on betech.asia. While ‘many’ are confused about the benefits of a rising Kakao merging with Daum Communications, an internet portal in decline, I believe that there are a few key factors that ‘many’ are missing. Kakao Corp. – A Brief Intro: Kakao Corp…
Investing in Korean startups can be a tough job for Venture Capitalists. Despite amazing growth over the last two to three in the venture ecosystem, we will have to wait for a further five years or more to see the fruits of this second push for a creative economy in Korea over the last ten years. As we know, VCs base their earning potential on few successful investments that can generate enormous…
Between 1997 and 2001, 3 web portal giants were born in Korea in a mini .com boom that mirrored similar in the west. Daum, Naver and Nate utilized the incredible IT infrastructure that had been built through a massive, strategic cash injection from the Korean government that aimed (and succeeded) in powering Korea to the status of one of the most progressive technology hubs in the world. This legacy still prevails and…
NHN will invest a total of 100 billion won ($90 million) to launch a mutual growth fund that will help smaller local content providers and establish a sounder cyber ecosystem, the company said Monday. It is part of the firm’s set of measures introduced to ensure mutual growth with small IT firms and venture startups. Under the plan, the operator of the nation’s dominant Web portal Naver will spend 50 billion won…
전 세계 모바일 게임 상위 매출 10개사 가운데 6개가 국내 회사인 것으로 조사돼 화제다. PC에서뿐만 아니라 모바일에서도 여전한 한국 게임의 역량을 보여주는 결과다. 구글 플레이를 기준으로 게임사 매출 상위 10개 중 6개, 모바일 게임 매출 상위 10개 중 7개를 한국 게임사와 모바일 게임이 차지했다.
A decision has been made by a presidential committee to cancel regulatory measures on Web board games, citing a lack of legal grounding for the measures. Gaming shares have surged as a result.
오는 15일 NHN이 패션을 주제로 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앱 ‘원더(WONDER)’를 출시한다는 소식에 스타트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스타트업계와 중견 벤처들은 이번 NHN의 원더 출시 소식에 긴장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대기업이 전문화된 콘텐츠 큐레이션 시장에 뛰어드는 것은 같은 시장에서 경쟁하는 스타트업이나 중견 벤처업체의 입지가 좁아질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대기업의 막대한 자금과 고급 브랜딩을 이용한 시장 점령 공세에 스타트업과 중견 벤처의 ‘자리뺏기’라는 비난 여론 역시 거세다.
중국 네이버 도메인 전체에 웹 가속화 서비스가 적용된다. 업계는 네이버가 견고한 중국 바이두의 독점 장벽을 넘어설 수 있을지에 주목하고 있다. 포털 사이트 네이버의 중국 지역 접속자를 위한 글로벌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서비스를 지원을 발표하면서 중국 인터넷 포털 시장에 승부수를 던졌다. 이와 동시에 27일 중국 정부가 인터넷 초고속망 확장을 발표하면서 중국 대표 포털 바이두에 더욱 힘을 쏟을 것으로 보여 두 거대 포털의 중국 시장 전쟁이 예고되고 있다.
We have talked a lot recently about the mounting rivalry between Korea’s two major messaging services, Line and Kakao talk. But recent developments demonstrate that this rivalry still allows for pragmatism when it comes to strategic business decisions.
Since January 29, Line users have been doubling in Hong Kong. Just 2 weeks before that, Line also passed its 100 million user mark on January 18th. What are some of the lookouts for Line?
beSUCCESS covers weekly news in Korea, 3 Feb.
beSUCCESS covers weekly news in Korea, 27 Jan.
Large Korean corporations have been accused of stealing innovation from startups, and copying it, backed by massive marketing budgets and distribution channels. This has the short and long term potential to seriously damage the thriving tech ecosystem in Korea. Your opinions on this are welcome.
In 2012 Korean headlines were dominated by Kakao news, but 2013 has started out strong for NHN Japan’s Line messenger. Can Kakao sustain growth in the face of Line’s much stronger global presence?